
명리학은 동양의 오래된 운세 분석 기술 중 하나로 개인의 운명과 운세, 사주 등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십이운성(十二運星)에 대해 알아보았고, 십이운성이란 특정 시기 동안 천간이 지지에 갖는 영향력이라고 배웠었습니다. 십이신살 또한 이와 비슷하게 적용되는 개념으로 십이운성( 十二運星 )이 중국에 뿌리를 두었다면 십이신살은 한국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서 십이신살의 개념과 원리, 의미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면서 십이신살에 대해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십이신살의 개념과 원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 흐름, 인간의 생로병사, 지지의 목, 화, 금, 수로 흐르는 기운 등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만물은 태어나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성숙하게 되며, 죽는 시기를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기운을 지난 시간에 십이운성으로 설명을 했었는데 한국에서는 이러한 기운을 십이신살로 설명하게 되며 각각의 요소는 겁살(劫殺), 재살(災殺), 천살(天煞), 지살(地殺), 년살(年殺), 월살(月殺), 망신살(亡身煞), 장성살(將星煞), 반안살(攀鞍煞), 역마살(驛馬煞), 육해살(六害煞), 화개살(華蓋煞)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살(煞)'이란 '죽일 살'로 과거에는 위협적인 뜻으로 쓰였지만 현대에 와서는 이러한 뜻이 많이 와해 되었고, 성공을 위해 어떨 때는 필요한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생겼습니다.
2. 십이신살의 의미와 특징
1) 겁살(劫殺)

겁살은 한자의 뜻을 해석 해보면 '겁탈하다', '빼앗다' 의미로 사주팔자를 해석할 때에는 소중한 것을 겁탈당하다, 빼앗기다, 일을 진행하는 데 있어 억지로 힘을 가하여 못 하게 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는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사건, 사고를 뜻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갑자기 발생한 수술수 더 나아가서는 사망에 이르게 하는 사건과 사고, 도둑으로 인한 재물 손실 등이 있겠습니다. 그리고 사주 내에 겁살이 있으면 욕심이 많으며 고집이 세다고 볼 수 있으며, 방어적이면서 예민할 수가 있겠습니다.
2) 재살(災殺)

재살의 '재(災)'는 '재앙 재'자로 개인이 재앙 속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여러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악재를 입을 수도, 타인에게 재앙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말과 행동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습니다. 이는 약육강식의 파란만장한 상황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개인은 살아남기 위해 배신이나 배반,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생존 본능, 각종 권모술수에 능한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재앙을 입다'라는 의미로 볼 때, 재살은 '수옥살(囚獄煞)'이라고도 불리는데, 말 그대로 감옥에 갇히게 되는 사건, 사고를 당할 수 있으니 경거망동의 말과 행동을 삼가야겠습니다.
3) 천살(天煞)

천살은 겁살, 재살과 더불어 3대 흉살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자 의미 그대로 '하늘 천(天)', '죽일 살(煞)'로 하늘에서 내리는 천재지변으로 인해 갑자기 당하게 되는 재난과 돌발적 상황에 맞닥뜨리게 됨을 의미합니다.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당하게 된다는 점에서 겁살(劫殺)과 비슷해 보이지만 겁살은 사람에 의한 것이라면 천살은 화재, 홍수, 산사태 등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억울하게 발생하게 된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천재지변은 개인이 주의하고, 조심하게 된다면 극복할 수 있는 살(殺)로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을 수 있음을 명심해야겠습니다.
4) 지살(地殺)

지살은 땅 위를 이곳, 저곳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으로 비유할 수 있는데 널리 알려진 '역마살(驛馬煞)'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지살은 약간 타의적인 의미가 섞여 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사주 내에 지살이 있으면 일찍이 고향을 떠나게 되어 타지에서 생활하게 되며 주거지 또는 직업 변동이 많을 수 있습니다. 지살이 길하게 작용하면 해외에 나가 직업을 갖게 되고, 재물을 취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특징으로 볼 때 무역업이나 외교관 등으로 길하게 발현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변동이 잦은 만큼 배신이나 사기, 교통사고 등의 이동 사고수가 있을 수 있으니 이러한 특징은 주의해서 살펴야 합니다.
5) 년살(年殺)

년살은 도화살(桃花殺)이라고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이성에 대한 관심이 지나쳐 그릇된 결과를 자처한다는 의미의 살이지만 현대에 와서는 트렌드에 밝고, 사람을 상대함에 있어 자신감이 있으며 애교와 유머를 겸비한 살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즉, 사람들과 활발한 소통을 해야 하는 서비스직, 독창적인 활동을 해야 하는 연예인 등의 직업에서는 긍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겠습니다.
6) 월살(月殺)

월살은 칠흑같이 어두운 밤에 떠있는 달의 모습을 상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긴 밤동안 세상을 비추며 떠 있어야 하는 달은 외로워 보입니다. 하는 일마다 재난과 고난이 따르게 되어 남 모를 침체, 좌절, 중단 등을 겪게 되며, 배우자가 있어도 독수공방해야 하는 일이 많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두운 밤은 어렵고, 힘든 시기로 볼 수 있지만 달빛이 비치고 있기에 마냥 어려운 길은 아닐 것입니다. 힘든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의지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인간관계의 친밀함에서 치유를 얻는다기 보다 진리 탐구, 종교 활동 등의 정신적인 활동에서 위로를 얻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7) 망신살(亡身煞)

사주 내에 망신살이 있으면 다른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릴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이는 개인 또는 단체의 명예, 타이틀에 문제가 되거나 긍정적으로 이슈가 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는데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다른 사람들이 오해하거나 험담, 지탄 등을 할 수 있으므로 인간관계에 주의를 요하게 하는 살입니다. 또 '망신살 뻗쳤다.'라는 말처럼 부끄러운 일, 타인을 접대하는 등의 일이 빈번하게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고객이나 손님을 모시는 서비스직으로 발현될 수가 있겠습니다.
8) 장성살(將星煞)

장성살은 한 부대의 통솔권자인 장군과도 같은 기상을 갖고 있습니다. 어떠한 일을 진행함에 있어 과감한 결단력과 용맹함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강하게 주도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일의 막힘이 발생했을 때에도 이를 극복하고 나아가는 힘이 대단해 출세와 승진에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주 내에 장성살이 있으면 집안이나 조직 내에서 주도권을 가지려 하는 습성 때문에 타인과의 불화가 비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불화와 이별로 발현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9) 반안살(攀鞍煞)

반안살은 말의 안장을 잡고 오르려 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회가 왔을 때 낚아챌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 구직활동이나 문제 상황에서의 임기응변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또 기회 포착 능력이 탁월한 만큼 귀인을 알아보는 능력 또한 뛰어나기 때문에 어려운 상황에서도 이를 이용해 쉽게 극복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변의 도움을 받아 명예와 직위를 높이는 데 유리하다고 보겠습니다. 그러나 욕심을 부리게 된다면 말안장에서 떨어지는 액운이 따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10) 역마살(驛馬煞)

역마살이 사주 내에 있게 되면 한 곳에 가만히 있지 못하고,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특성이 두드러집니다. 기본적으로 호기심이 많기 때문에 바쁘게 돌아다니면서 직접 확인하고, 어떠한 일이 결정되면 바로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력이 있습니다. 이러한 적극적인 특성 때문에 직장 내에서 인정을 받기 쉽지만 지구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이 쉽게 중단될 수 있고, 신중하지 못한 모습으로 구설에 휘말리거나 섣부른 판단으로 어려운 상황을 겪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11) 육해살(六害煞)

육해살은 한자 해석 그대로 '여섯 가지 피해'를 의미합니다. 여러 고난과 사고로 인해 지친 상태이며 걱정과 수심으로 가득 차 전전긍긍하는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건강이 나빠져 질병으로 인해 고생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사주 내에 육해살이 있으면 대개 병약하여 잔병치레가 많을 수 있으며 직업적으로 긍정적으로 발현되게 되면 의료업에 종사할 가능성도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12) 화개살(華蓋煞)

화개살은 '빛나고 화려한 것을 덮는다'라는 뜻으로 화려한 활동을 중단하고, 휴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의 중단수를 뜻할 수도 있지만 과거의 화려했던 활동을 잠시 멈추고 다음의 도약을 위해 재충전에 들어감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미 완성된 능력을 덮는 것으로 겉으로 쉽게 보이지 않는 카리스마가 느껴지며 인생을 관조하며 속세를 떠나 자기 수양을 하는 모습으로 발현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화려함을 덮는 살이기에 표면적으로는 활달한 모습일 수 있으나 내면적으로는 고독과 외로움이 따를 수가 있으니 인간관계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십이신살 또한 십이운성(十二運星)과 마찬가지로 자연의 흐름과 이치에 따라 적용되는 천간과 지지의 관계를 해석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명리학은 주관적인 해석이 들어가는 학문으로 인생의 주요 변화를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는 있으나 절대 맹신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여기까지 한국의 명리학에만 있는 십이신살의 개념과 원리,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흥미로운 주제들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명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명리와 십이운성(十二運星)의 이해 (1) | 2024.01.28 |
---|---|
[사주명리 십신/십성] 10. 편관(偏官)의 특징 (1) | 2024.01.27 |
[사주명리 십신/십성] 9. 정관(正官)의 특징 (1) | 2024.01.26 |
[사주명리 십신/십성] 8. 편재(偏財)의 특징 (1) | 2024.01.25 |
[사주명리 십신/십성] 7. 정재(正財)의 특징 (0) | 2024.01.24 |